Company OverviewEnvironmentalSocialGovernanceAppendix
보고서 개요CEO 메세지ESG Highlight일지테크 ProfileBusiness Value ChainESG Management Framework
재무 성과 정보비재무 성과 정보GRI Content IndexSASB IndexUN SDGs Commitment제3자 검증의견서가입 단체 및 인증/수상 현황
제3자 검증의견서
제3자 검증의견서

제3자 검증의견서

일지테크 이해관계자 귀중

한국품질재단은 일지테크의 요청에 의해 「2024 일지테크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이하 ‘보고서’)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습니다. 한국품질재단은 하기 명시한 검증 기준 및 범위에 따라 독립적으로 보고서에 대한 제3자 검증 의견을 제시할 책임이 있으며, 본 보고서의 작성에 대한 책임은 일지테크 경영자에게 있습니다.

검증 기준 및 범위

 검증 기준 : AA1000AS (v3), AA1000AP (2018)
• 검증 유형 : Type 1 [AA1000AP 4대 원칙 (포괄성, 중대성, 대응성, 영향성) 검증]
• 검증 수준 : Moderate [제한적으로 수집된 자료에 기반하여 검증]
• 검증 경계 : 보고서에 명시된 보고 경계 (국내외 전 사업장),협력사 및 제 3자의 성과 및 보고 관행 등은 본 검증의 경계에 포함되지 않음
검증 범위 : AA1000AP 4대 원칙 및 GRI Standards 2021 보고 요구사항에 대한 준수 여부


검증 방법

심사팀은 상기 기준을 적용하여 보고서 내용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관련 절차, 시스템 및 통제의 방식과 가용한 성과 데이터에 대하여 검토하였습니다. 검증 과정에서 확인한 문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비재무정보 : 일지테크에서 제공한 데이터와 통합 정기공시 보고서, 언론 및 인터넷을 통해 조사된 자료 등
 재무정보 : 일지테크 재무제표 및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dart.fss.or.kr)에 공시된 자료와 홈페이지에 게시된 자료 등을
                활용하였으나 이들에 대한 내용은 검증 범위에 포함되지 않음.

본 검증은 현장방문을 포함한 서면검증 및 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보고서 내 중대성 평가 절차, 이해관계자를 고려한 이슈 선정, 데이터 수집관리 및 보고서 작성 절차의 유효성과 서술 내용의 타당성은 담당자 인터뷰를 통해서 평가되었으나 외부 이해관계자 면담은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상기 단계에서 발견한 일부 오류, 부적절한 정보, 불명확한 표현들은 보고서 발간 전에 적절히 보완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적격성 및 독립성

본 검증의 심사팀은 한국품질재단 내부 규정에 의거하여 적격하게 구성되었습니다. 한국품질재단은 제3자 검증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 외에 일지테크 사업 전반에 걸쳐 검증의 독립성 및 공평성을 저해할 수 있는 어떠한 이해관계도 없습니다.

제한사항

보고서에 제시된 성과 데이터에 대한 완전성 및 대응성은 해당 데이터의 특성과 수치를 확정, 계산, 추정하는 방법에 따라 고유의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심사팀은 계약에 의거하여 제공된 정보 및 근거에 대해 비교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원본 데이터 자체의 신뢰성 확인은 수행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본 보고서에 보고된 온실가스 배출량 데이터는 본 검증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발견사항 및 검증 결론

상기 검증 활동을 수행한 결과, 심사팀은 본 보고서의 내용이 GRI Standards 2021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AA1000AP (2018)의 4대 원칙, AA1000AS (v3)의 Type 1 보증 수준을 입증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를 확보하였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또한 본 보고서의 내용 중 중대한 오류나 원칙 준수와 관련하여 부적절한 사항을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

• 포괄성 (Inclusivity)

일지테크는 6대 이해관계자 그룹(주주 및 투자자, 임직원, 고객, 지역사회, 협력사, 정부)을 정의하고, 각 그룹의 특성을 고려한 의사소통 채널을 통해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고 의견을 수렴하고 있습니다. 심사팀은 이 과정에서 누락된 주요 이해관계자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일지테크가 수렴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경영전략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중대성 (Materiality)

일지테크는 글로벌 ESG공시 표준 및 이니셔티브 분석, 미디어 분석, 동종산업 벤치마킹을 통한 내·외부 환경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슈 풀을 구성하였고, 각 이슈에 대해 기업의 비즈니스가 환경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환경 및 사회가 기업의 재무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고려하여 이중 중대성 평가를 실시 하였습니다. 도출된 가능이슈 24개 중 외부 ESG 전문가의 적절성 검토 및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등을 통해 최종적으로 8개의 중대 이슈를 선정하였습니다. 심사팀은 도출된 중대이슈가 본 보고서에서 보다 비중있게 다루어졌으며, 중대성 평가 과정에서 파악된 중대이슈가 누락없이 보고서에 보고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 대응성 (Responsiveness)

일지테크는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과 주요 관심사항에 적시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심사팀은 중대이슈에 대한 조직의 대응 활동 및 성과가 부적절하게 보고되었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

• 영향성 (Impact)

일지테크는 경영활동 전반에서 이해관계자 관련 중대이슈의 영향을 식별 및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보고하고 있습니다. 심사팀은 중대이슈와 관련된 영향성이 부적절하게 측정·보고되었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


보고서 문의
사이트 문의
본 사이트는 로그블랙 ESG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통해 제작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로그블랙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